미국 소비 흔들리면 경제 침체로 이어질지 몰라
2024년 4월 들어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 인사들의 매파적(강경) 발언이 쏟아지고 있다. “금리인하를 위해 더욱 많은 데이터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말은 이제 의미 없다. 더 나아가 “올해 3회 금리인하는 전망에 불과할 뿐 약속이 아니다”라며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에 대해 말하고 있다. 이런 연준의 입장 변화에 이유가 없는 건 아니다.
2024년 발표되는 물가통계는 전망치를 웃돌고 있다.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역시 그랬다. 헤드라인(가격 변동성이 큰 필수 소비재의 인플레이션을 포함한 국가 전체의 인플레이션), 근원(필수 소비재의 인플레이션을 제외한 것) CPI 모두 전달보다 0.4% 상승했다.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우려가 점차 커지고 있다.
물가 관련 데이터 중 전망치를 웃도는 연준의 금리인하 명분을 흐리게 한다. 데이터를 보고 결정하겠다는 연준의 태도로 볼 때 시장이 금리인하 시기와 폭을 부정적으로 보는 건 당연하다고 생각된다. 물가에 대한 불안은 연준뿐만 아니라 시장을 지배하고 있다. 올해는 금리인하 횟수를 줄이는 게 현재로서는 합리적으로 보이기도 한다.
데이터를 보고 연준이 통화정책을 결정하겠다는 것은 합당한지 살펴봐야 한다. 그 답은 미국 경제의 구조에서 찾을 수밖에 없다. 미국 경제는 소비 의존 경제다. 소비가 무너지면 경제는 둔화, 침체한다. 그렇다면 현재의 탄탄한 소비는 지속 가능할지 답이 나와야 하지만 결론부터 말하면 그렇지 않다.
개인소비지출 현황
연준이 통화정책을 결정할 때 그 근거로 사용하는 데이터는 미국의 소비자지출 혹은 개인소비지출(PCE)이다. PCE는 상품과 서비스 구매액 모두를 포함한다. 인플레이션 추이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는 이유는 미국인이 소비에 쓰는 모든 돈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미국인의 소비지출은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급증해 꺾이지 않고 있다. 역사적 최고치인 2024년 2월 말 기준 19조 달러(약 2경 5923조 원)를 넘었다. 팬데믹 직전인 2020년 2월 15조 달러 미만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말도 안 되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었다.
늘어난 이유 중 대표적인 게 소비다. 팬데믹은 고립과 상실을 낳았다. 이를 극복하는 방편으로 많은 사람이 소비를 택했다. 외식, 꾸미기, 여행 등으로 본인의 존재감을 드러내려 했다. 일부에서는 이를 ‘이연(pent-up) 소비’, 즉 미뤄놨던 소비를 뒤늦게 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이는 억눌린 감정을 해소하기 위한 소비, 즉 ‘보복 소비’에 가깝다. 미국인의 경우 그 주요 재원은 경기부양을 위해 뿌려진 재정지원금이었다.
임금상승률 하락
2024년 2월 3.9% 수치는 미국의 실업률은 완전고용 상태를 나타낸다. 최근 약간 상승했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1975년 이래 역사적 저점이다. 임금은 2024년 1월 전년 동월 대비 5.72% 증가했으며 팬데믹 이후 임금 증가율은 추세선을 웃도는 성장률을 보였다.
하지만 인플레이션을 고려하면 2022년 이래 연평균 실질임금은 0.5% 이하로 증가했다. 인플레이션은 여전하지만, 명목임금 성장률은 팬데믹 전으로 회귀하고 있다. 최근 임금 상승률은 팬데믹 이전인 2019년 수준까지 둔화했다.